Profile picture

[네트워크] 서브넷 계산, 이렇게 쉬울 수가! 초보자도 이해하는 방법

JaehyoJJAng2023년 01월 10일

서브넷팅이 뭐야?

IP 주소는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뉘어요.

예를 들어, 192.168.1.0/24는 네트워크가 24비트라는 뜻이에요
(서브넷 마스크: 255.255.255.0)


서브넷팅은 이 호스트 부분을 빌려와서 더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는 작업이에요.

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쓰고 트래픽도 줄일 수 있죠.


서브넷 계산, 단계별로 해보자

예시로 192.168.1.0/244개의 서브넷 으로 나눠볼게요.


1. 필요한 서브넷 수 파악하기

4개의 서브넷을 만들려면 몇 비트를 빌려야 할까요?

  • 서브넷 수는 2^n(n은 빌린 비트 수)로 계산돼요.
  • 4 = 2^2이니 2비트를 빌리면 충분해요.

2. 새 서브넷 마스크 구하기

원래 마스크는 /24였죠. 2비트를 더 빌리면:

  • /24 + 2 = /26
  • /26255.255.255.192라는 서브넷 마스크예요.

3. 각 서브넷의 크기 알아내기

호스트 비트가 줄었으니, 각 서브넷의 호스트 수를 계산해보죠.

  • 총 32비트 중 26비트가 네트워크 부분이니까, 호스트 부분은 6비트
  • 2^6 = 64개의 주소가 생기고,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빼면 62개 가 사용 가능해요.

4. IP 범위 나누기

전체 주소 192.168.1.0 ~ 192.168.1.255를 4개로 나누면,

각 서브넷은 64개씩 가지게 돼요(256 ÷ 4 = 64). 범위는 이렇게 나와요:

  • 서브넷 1: 192.168.1.0 ~ 192.168.1.63 (사용 가능: 192.168.1.1 ~ 62)
  • 서브넷 2: 192.168.1.64 ~ 192.168.1.127 (사용 가능: 192.168.1.65 ~ 126)
  • 서브넷 3: 192.168.1.128 ~ 192.168.1.191 (사용 가능: 192.168.1.129 ~ 190)
  • 서브넷 4: 192.168.1.192 ~ 192.168.1.255 (사용 가능: 192.168.1.193 ~ 254)

실전 팁: 비트로 쉽게 계산하기

/26의 마지막 옥텟은 192(2진수: 11000000)인데,

이걸 보면 주소가 64씩 증가한다는 걸 알 수 있어요.

마스크가 /27이면 32, /28이면 16씩 증가하는 식으로 패턴을 익히면 더 빨라져요.


다른 예제: 8개 서브넷 만들기

172.16.0.0/16를 8개로 나눠보세요!

  • 8 = 2^3 → 3비트 빌림 → /16 + 3 = /19.
  • 호스트 수: 2^(32-19) = 8192, 사용 가능은 8190.
  • 범위: 172.16.0.0 ~ 172.16.31.255, 172.16.32.0 ~ 172.16.63.255 이런 식으로 쭉!
    Tag -

Loading script...